끝없이 불사하고, 기도하며 열정적으로 살아가는 삶~~~1

끝없이 불사하고, 기도하며 열정적으로 살아가는 삶~~~1

권도…

대법륜사 주지 회주 스님


표지사진.jpg

  

 

- 대중 감화시키고 포교하는데 앞장서

- 자급자족하는 불교, 사회적 역할 하는 불교 필요해

- 김해시 랜드마크로 자리잡은 대법륜사

 

 

세계적으로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를 조사하니 어머니, 열정, 그리고 웃음이 상위 에 랭크되었다고 한다. 대법륜사를 이끌고 계신 회주스님과과 인터뷰는 그 중에서도 열정웃음을 가득 접할 수 있는 소중한 만남이었다.

 

 

나이는 많지만 한 순간도 쉬지 않는다. 끝없이 불사하고, 기도하며 열정적으로 살 것이다.”라며 일흔을 넘긴 나이에도 불교 포교를 위해 다양한 일을 시도하고, 도전하는 회주스님의 모습에서 넘치는 열정과 긍정적 에너지를 느낄 수 있었다. 웃으면 복이 온다고 했다. 부처님의 트레이드마크는 웃음이지 않은가. 스님은 웃어주는 것만으로도 포교다. 대법륜사에는 불상이 만 개가 넘는다. 혹자는 부처님이 그리 많을 이유가 있냐고 하지만 부처님의 웃음을 어디서든 볼 수 있게 하려는 마음이다.”라는 회주스님의 말씀을 듣다 보니 절로 흐뭇한 미소가 지어지기도 했따.

 

 

끊이지 않는 열정으로 배움 멈추지 않아

회주스님은 초등학교를 졸업할 무렵 통도사에 계시던 친삼촌의 권유로 출가를 하게 됐다. “6.25를 겪던 해에 삼천포에서 태어났다. 온 나라가 배고픔을 해결하기만도 급급했던 시절이었다. 가난에 허덕이던 때였기 때문에 장손인 내가 절에 오면 공부를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친 삼촌이 제안하신 것을 계기로 출가 하게 됐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후 검정고시를 치르고 동아대학교 국문과에 진학 했다. 스님은 학벌을 중요시 여기지 않던, 산 중에서 불교 공부만 한다고 알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스님께서는 학문도 게을리 하지 않은 것이다. 회주스님은 “60년대 후반 즈음 주지스님께서 부산의 동네 포교당에서 중고등학교 학생을 가르치라 하셨다. 어린 마음에 초등학교만 나온 나보다 다른 학생들이 더 똑똑한 것처럼 느껴져 부끄럽기도 했다. 사회인을 가르치려면 절 공부뿐만이 아니라 모든 면에서 사회인보다 앞서야겠다는 생각에 공부를 멈출 수 없었다.”고 전했다. 회주스님은 지금까지도 학문에 대한 열정을 놓지 않고 계신다. “내 수준이 올라가지 않으면 신도들도 찾지 않는다. 스스로 끊임없이 공부 해야 한다.”는 것이 지론이기 때문이다.

KHD_0032.JPG

 

대중 감화시키고 포교하며 이 땅을 불국토로 만들 것

회주스님은 적극적으로 포교에 힘쓰는 스님 중 한 분이다. 불교의 가장 큰 목적 중 하나는 포교라고 보기 때문이다. “스님이 꼭 선방에 틀어박혀 홀로 참선만 해야 큰 스님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스님의 능력에도 여러 형태가 있다. 참선을 주로 하는 스님, 염불과 불공을 잘 하는 스님, 또 대중을 감화시키고 포교하는 데 소질이 있는 스님이 있다. 나는 학문적으로 포교하는 데 소질이 있다고 생각했다.”한국인이 가장 위대한 고승으로 꼽는 원효대사 역시 포교에 앞장섰던 분이다. 누구든지 나무아미타불만 부르면 희망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극락에 갈 수 있다는 것을 민중들에게 가르쳐 주셨다. 홀로 참선하는 것이 아니라 이 땅 전체를 불국토로 만드는 것이 부처님의 일이기에 열심히 임해 보여주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납골 사업 진행 극락왕생할 수 있게 축원해 주기에 위패 모시는 이들 많아

특히 대법륜사는 현재 납골 사업을 진행 중이다. 위패를 모시게 되면 평생 제사를 모셔드린다. 조석으로 지장보살님께 기도를 올려드리며 영가들이 정토에 극락왕생할 수 있도록 축원해 드리기 때문에 인기가 높다. 후손들이 마음 편히 모실 수 있는 영혼의 안식처가 되어 주고 있는 것이다. 극락세계는 황금으로 되어 있고 부처님이 되면 금색신이 되기 때문에 대법륜사 극락전 봉안당은 내부 장식을 대부분 황금색으로 장식했다. 위로는 하늘의 천기를 받고 뒤로는 함박산 정기를, 앞으로는 불모산 정기와 주촌 평야의 정기를 받아 날마다 스님들의 청아한 염불소리가 어우러지니 글자 그대로 천지인이 모두 모인 형국이다.


KHD_0075.JPG

 

 

납골당사업은 불교도 자급자족해야 한다고 보시는 회주스님의 큰 뜻이 바탕이 되어 시작된 사업이다. 회주스님은 지금까지 불교는 신도들이 가져다주는 시주에만 의존했다. 하지만 불교가 사회적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받기만 하는 불교가 아니라 주는 불교가 되려면 자급자족해야 한다. 일본 등 동남아 국가의 사찰은 모두 납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착안해 2016년에 직접 시에 찾아가 납골당 허가를 받았다. 현재 대법륜사의 경제적 의존도는 70%가 납골당이라 할 정도로 사업이 잘 되고 있다. 이 시대에 필요한 가치는 힐링과 평화다. 많은 사람들이 절에 위패를 안치하고 찾아오면서 힐링을 하고 위로를 받을 수 있게 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지만 이 곳에 와서 기도 하면 마음 편안해 진다. 이득은 다시 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자체 사업을 통해 떳떳하게 번 수익금을 기부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에 좋은 일을 할 때도 더 당당하다.”고 설명했다.

 

 

회주스님은 앞으로 카페도 운영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바리스타 스님이 커피협회도 가입하고 근처 카페 주인들과도 만나 함께 활동을 하고 공감을 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불교에 대한 좋은 이미지 줄 수 있다. 이것이 사회와 소통하고 불교로 향하는 길잡이로서 행하는 길이 될 것이다.”


KHD_0218.JPG

 

 

김해의 랜드마크로 자리잡은 대법륜사

회주스님은 스스로를 일조 불사할 스님으로 불러달라고 했다. 절 그 자체가 부처님의 나라라고 보기 때문이다. “혹자는 절을 안 짓는다고 절이 없느냐. 절이 없어서 불공을 못 하는가 하며 비판하기도 한다. 그러나 중국이 아무리 땅이 넓어도 더 많은 땅을 원하듯이 땅이 많다는 것과 인구가 많다는 것이 국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절이 초라하면 일반인들은 그 절을 보고 불교를 평가한다. 외부에서 볼 때 절이 넓다면 스님, 절의 기운, 불교도 달라 보이는 것이다. 절이 꾀죄죄하다면 부처님도 꾀죄죄해 보인다.”는 생각이었다. 그리고 그 꿈은 차츰 이뤄져가고 있다.

 

 

대법륜사 앞으로는 6차선 도로가 생기고 주변에 경희의료원도 들어오면서 대륜법사는 이미 김해를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했다. 6차선 교차로도 대법륜사가 교처로로 확정되었고. 대법륜서가 정류소 명칭으로 사용될 정도다. 경상남도의 수천 개가 넘는 사찰 중에 사찰 이름만으로도 브랜드적 가치를 가진 곳은 이 대법륜사가 유일하다고 볼 수 있다.

 

 

대법륜사로 들어서는 길목에 자리한 큰 불상도 눈길을 사로잡는다. 회주스님은 요즘 바쁜 현대인들은 절을 찾을 시간이 없다. 절에 와야만 부처님을 만날 수 있는데 절에 오지 않으니 부처님을 만나볼 수도 없는 것이다. 대륜법사 앞 도로에 하루 만 대 이상의 차량이 지나가는데 지나가면서라도 불상을 한 번 보게 하고 싶었다. 신도들은 마음을 정화하고, 종교에 관계없이도 부처님을 바라볼 수 있게 하기 위해 크게 불상을 세웠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