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특집 / 팬플룻 아티스트클럽 김영운 대표

고양시 특집 / 팬플룻 아티스트클럽 김영운 대표

이은…

고양시 특집 / 팬플룻 아티스트클럽 김영운 대표

 

소풍 가기 전날에 설레는 마음처럼, 누구나 악기를 들고 찾아오는 곳이 되길” - 팬플룻 아티스트클럽 김영운 대표

1649654613124.jpg

팬플룻이라는 악기의 유래는 그리스신화의 목신, (Pan)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팬은 요정 시링크스(Syrinx)를 짝사랑했는데 시링크스는 반인반수인 팬을 싫어해서 도망을 쳤다. 시링크스는 팬의 손에서 도망을 치다가 강의 신에게 강가의 갈대가 되게 해달라고 빌어서 갈대가 되었는데, 팬은 시링크스를 잊지 못해서 늘 강가에 나가 갈대를 꺾어 불었다고 한다. 팬플룻은 이러한 신화를 기원으로 가지고 있다. 짝사랑을 잊지 못해 악기를 만들어 불었다는 신화만큼이나 팬플룻의 소리는 극적으로 가슴을 울리는 무언가의 진동이 있다. 젊은 날에는 해보지 못했던 악기에 짝사랑을 늦게라도 이뤄나갈 수 있는 커뮤니티를 만들어 팬플룻 소리의 매력을 전파하는 곳이 있다고 하여 찾아가 보았다.

20220323_130111.jpg

팬플룻 아티스트클럽의 김영운 대표가 팬플룻을 시작하게 된 것은 꽤 늦은 나이에 이르렀을 때였다. 3년 정도를 배우고, 사람들과 함께 하는 즐거움을 만들어 나가고자 작년에 팬플룻 아티스트클럽을 열게 되었다고 했다. 아직까지 팬플룻이라는 악기는,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악기이니만큼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반대로 이 악기를 취미로 갖는 사람들은 아직 대중적이라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기에 아직 시작은 미약하지만 팬플룻이라는 악기에 대한 열정으로 그 자리를 새롭게 만들어 보겠다는, 이 작은 동아리가 갖는 취지는 훌륭하다.

20220323_130143.jpg

100세 시대에서 젊은 노인들이 꼭 노인정에 가야 하는가? 악기를 했다면 다르지 않겠는가?

 

팬플룻(Panflute)이란 악기는, 인류가 만들어낸 최초의 목관악기라고 한다. 여러 개의 관을 뗏목처럼 차례로 연결해 놓고, 한쪽을 막아 놓은 원시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원시적인 형태의 악기였으므로 초기에는 민속 음악을 연주하는 범주를 지나지 못했었다. 그랬던 악기가 지금에는 개량이 되고 발전되면서 경음악은 물론 팝, 클래식 음악까지 연주할 수 있는 악기가 되었다.

1649654613072.jpg

어찌보면 쉽지 않아 보이는 이런 팬플룻이란 악기에 도전하는 것은, 노년의 삶에 취미가 없으면 갈 곳 없는 노인이 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에서였다고 했다. 건강을 위해서도 기본적인 복식호흡을 많이 연습하게 되는 팬플룻은 노년의 건강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팬플룻은 악기가 무겁지 않으며 양손을 많이 쓰지 않으면서도 연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긴 호흡의 양을 요구하기 때문에 단전호흡처럼 호흡의 연습을 많이 하게 되며, 한 구멍에 맞춰 바람을 불어넣는 연주를 하다 보면 집중력 향상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노년층에 두꺼운 취미 층을 가지고 있는 등산과 같은 경우, 팬플룻을 함께 한다면 무겁지 않은 악기를 함께 지니고 산과 자연에서 가장 어울리는 음악의 소리를 함께 즐길 수도 있을 것이다.

20220323_130542.jpg

팬플룻 아티스트클럽이 생각하는 팬플룻을 통한 자리는 그런 것이었다. 이제 노인정에서의 노인들이라고 부르는 나이도 점점 6~70대가 젊은 층이 되고 100세 시대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그들의 자리가 꼭 노인정이어야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악기를 배워두면 조금씩 하고 싶었던 음악을 즐기면서, 소풍을 나온 것처럼 즐겁게 어울려 버스킹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제는 여가생활의 질을 스스로 높여 나갈 때가 아니겠는가? 이것이 팬플룻 아티스트클럽을 만들게 된 동기였다.

1649654612954.png

소풍 가기 전날에 설레임에 잠못 이루는 아이들처럼, 기분 좋은 느낌으로 찾아와 주시기를

 

그런만큼, 팬플룻 아티스트클럽의 활동은 그저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이 모이면 되고, 모인 사람들이 서로를 재는 것이 아니라 함께 어울리는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어떤 협회와 같은 거창한 것도 아니고 그저 악기를 하고 싶어서 만들었기에 동호회 형식처럼 자유롭게 모이면 누군가가 한 곡을 제시해서 연습하고 돌아가면서 자신이 하고 싶은 곡을 내놓는 방식이다. 그것이 함께하는 연주가 되고 합주가 되어 레퍼토리가 되면 그것을 가지고 거창한 공연이 아니더라도 거리연주와 같은 것을 통해 발표의 무대를 갖게 되는 것이었다. 그런 버스킹 공연에 소풍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도 그런 취지가 밑바탕이 된 것은 아니겠는가? 소풍 나온 아이들처럼, 그저 음악으로 즐거울 수만 있다면 나이가 무슨 상관이고 연주의 자리도 상관없고 연주에 대한 평이 중요하겠는가?

20220323_130154.jpg

운영비용으로 조금씩 모이는 것은, 악기를 사서 불우이웃이라 할 수 있는 곳에 기증하고 있다는 것 또한 팬플룻 아티스트클럽이 가지고 있는 차별점이라 할 수 있었다. 내가 좋아서 하는 악기를 혼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악기에 대한 저변을 넓혀 나가는 것이. 악기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발전을 이루게 되면 함께하는 사람들로 인한 즐거움이 더 많아지지 않겠는가? 하고 펜플룻이라는 숲을 위해 나무를 심는 것과 같은 활동을 갖는 것 또한 악기의 연주만큼이나 중요한 활동 영역이라는 생각이었다.

20220323_130214.jpg

협동조합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 단체의 활동 이력보다 취지와 발상을 먼저 보아주길

 

기분 좋게 와서 배우고, 기분 좋게 갔으면 좋겠습니다.” 김영운 대표가 팬플룻 아티스트 클럽의 회원들에게 생각하고 있는 바람은 그런 것이었다. 앞으로는 지금의 이곳을, 협동조합으로 더 발전시켜가고 싶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 또한 그 연장선이 아닐까 싶었다.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 우선이 아닌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를 우선으로 하게 되면 찾아오는 이들에게도 더 편하고 친근하게 열린 공간이 될 수 있지 않겠는가? 그것이 팬플룻 음악을 생각하고 그 음악으로 사회에 열어가는 문이 되고자 하는 그의 비전이었다.

이러한 활동들이 그 즐거움에 비해 아직 쉬운 일만은 아니었다. 가장 힘든 것은, 우선 사람이 사람을 상대하는 것이 어렵다고 했다. 각각 사람들이 갖고 있는 생각도 다르고, 그때마다 심리적인 것을 보듬어 간다는 것이 운영에 있어 가장 힘든 일이라고 했다. 그것에 더해 지금은 코로나19가 장기화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 특성상 마스크를 벗고 바람을 불어 넣어야 하는 관악기에게는 더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버스킹을 시도하기에 아직은 제약이 더 컸다. 정부에서의 지원도 있어 주면 좋겠지만, 이제 활동이 1~2년밖에 안 된 단체라고 해서 번번히 퇴짜를 놓기 일쑤이다. 형식적으로 서류상으로 내려지는 단체의 평가가 아니라, 단체의 취지와 아이디어를 먼저 보아주는 것이 진정한 발전을 모색하는 일이 되지 않겠는가?

20220323_130056.jpg

아직 신생인 단체에 그 연령층이 젊다고 할 수는 없었지만, 팬플룻 아티스트클럽이 가지고 있는 생각들은 그 어느 곳보다 젊고 열정적이었다. 악기에 대한 열정과 사람이 함께 어울리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그 길을 모색하는 이곳에서, 목신인 팬을 매료시켰던 갈대피리의 울림이, 사람 사는 사회 속에서 더 아름답게 울려 퍼지기를 바란다.